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학교교육>서원>제향
URL

서원

제향
서원의 제향 공간 도산서원 상덕사

서원의 제향 공간 도산서원 상덕사

  • 서원의 제향 공간 도산서원 상덕사
  • 서원의 제향 준비공간 도산서원 전사청
  • 서원의 제향 공간 병산서원 존덕사
  • 서원의 제향 준비공간 병산서원 전사청
이전 다음

석전제의 격식과 절차가 거의 동일한 서원의 춘추제향 서원의 양대 기능 중 하나가 선현에 대한 제향이다. 서원의 제례는 자체 행사로서도 의미가 있었지만 사회적으로도 중요하였고, 관에서는 제례에 필요한 제수를 지원하여 제례에 부족함이 없도록 하였다. 서원에서 행해지는 제례에는 매달 삭망일(朔望日, 초하루와 보름)에 시행되는 삭망제, 정월 초닷새(5일)에 행하는 정알례(正謁禮), 봄과 가을로 지내는 춘추제향(春秋祭享)형이 있다. 이중 가장 비중이 큰 것은 춘추제향이다.

춘추제향은 관학에서 시행하던 석전제(釋奠祭)와 같은 행사인데, 서원에서는 관학의 석전제와 겹치지 않게 날을 잡아 시행하였다. 춘추제향은 서원에 따라 시행일이 각각 달랐다. 중춘(仲春, 음력 2월)과 중추(仲秋, 음력 8월)에는 관학의 석전일을 피해 중정일(中丁日)에 제를 올렸고, 계춘(季春, 음력 3월)이나 계추(季秋, 음력 9월)의 상정일(上丁日)에 시행하기도 하였다. 국상이나 큰일이 있으면 제례가 늦춰지기도 하였는데, 관학이었던 향교는 늦더라도 꼭 지냈지만 서원의 경우 생략하는 경우가 많았다.

춘추제향의 격식과 절차는 석전제와 거의 동일하였다. 제향을 올릴 때가 되면 제사를 진행할 제관을 임명하는데, 제관으로 임명되면 사흘 전부터 재계에 들어갔다. 제관은 헌관과 집사로 대별되는데, 헌관은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이 있고, 집사는 축(祝, 축문 낭독), 찬자(贊者, 제향 진행), 알자(謁者, 헌관을 인도하고 찬자를 보좌), 인찬(引贊, 제관을 절하는 곳으로 인도), 사준(司尊, 제주를 담당), 봉향(奉香, 향을 담당), 봉로(奉爐, 향로 담당), 봉작(奉爵, 술잔 담당), 준작(尊爵, 술잔을 받아 신위에 올림)으로 구성된다. 집사는 주로 유생들이 맡아서 관련된 일을 담당하였다. 제향은 전폐례(奠幣禮), 초헌례, 아헌례, 종헌례, 음복례, 망예례(望瘞禮)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춘추제례를 마치면 음복을 하고 제수를 나누어 가졌다. 이어 유회를 열어 서원과 마을의 일들을 논의하였다. 즉, 원임을 선출하거나 서원 입학할 학생을 추천하여 결정하였고, 그밖에 현안이 될만한 정치적인 문제나 강상윤리와 관련된 포상과 처벌 등을 결정하기도 하였다.

삭망제와 비정기적인 제례 삭망제는 매월 삭망일에 시행되었다. 삭망 전날에 재유사는 서원에 미리 들어오고 당일 이른 아침에 유건을 쓰고 도포를 입은 다음에 손을 씻고, 봉로와 봉향 각 한 사람을 앞세워 묘에 나아가서 세 번 향을 올리고 두 번 절한다. 그리고 사당에 들어가 신위를 받들어 살핀 뒤 물러난다. 재임은 모든 원생들을 인솔하여 건복을 갖추고 묘에 배알을 하는데, 중문을 열고 분향을 하고 재배를 한다.

이외에 비정기적인 제례가 있었는데, 위패를 일시적으로 옮길 때 시행하는 이안제와 환완제, 불시의 재난을 입었을 때 올리는 위안제, 위패를 새로 봉안하거나 제외할 때 올리는 예성제, 사액을 받았을 때 올리는 사액례 등이 있었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