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자료로 보는 서원
교육
총 9 건
-
9가례 송(宋)의 주자가 만든 가정 의례서(儀禮書)로 주문공가례(朱文公家禮)라고도 한다. 고려 후기 성리학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유교 의식의 보급을 위해 채택하였다.
-
8계서예집 이 책은 의성김씨 운암종택에서 소장하던 『계서예집(溪書禮輯)』이다. 임응성(林應聲, 1806~1866)이 퇴계집(退溪集)에서 예설(禮說)을 논한 부분들을 뽑아서 2책으로 편집한 예서(禮書)이다.
-
7문공가례 송(宋)의 주자가 만든 가정 의례서(儀禮書)로 6책으로 된 《문공가례(文公家禮)》이다. 주문공가례(朱文公家禮)라고도 한다. 고려 후기 성리학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유교 의식의 보급을 위해 채택하였다.
-
6소지류0004 송기식이 도산서원의 노유들에게 보낸 편지이다. 보낸 시기는 아마도 한창 외세가 밀려오던 한말시기로 추측된다. 송기식은 도산서원의 위상을 먼저 말한 다음 현재 살고 있는 유자들이 해야할 일을 거론하고 있다. 그는 유생을 선발하여 경학사범으로 삼아 각 고을의 학생들을 가르 ...
-
5여씨향약 1세기 초 중국 북송(北宋) 때 향촌을 교화 선도하기 위해 만들어진 자치 규약이다, 섬서성(陝西省) 남전현(藍田縣)에 살던 여대림(呂大臨) 등 도학자 4형제가 문중과 향리를 위해 만든 것이다.
-
4유원록0001 유원록이란 서원에 출입한 사람들의 명단을 적은 문서로, 학생명부라 할 것이다. 이것은 뒤에 학통을 인정받는 중요한 근거가 되는 자료이다.
-
3이륜행실 유교의 근본 윤리를 권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국의 옛날 이야기 중에서 모범적인 사례를 뽑아 삽화와 함께 쉽게 기술한 윤리 교과서이다. 이 책에서는 특히 장유(長幼)와 붕우(朋友)의 이륜(二倫)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
2조정의 정치적인 언론이나 유교적인 정치관이 담긴 교서(敎書) 초안 조정의 정치적인 언론이나 유교적인 정치관이 담긴 교서(敎書) 초안이다. 조정에서 정치를 수행하는 이들의 도덕성을 강조하면서 지방과 긴밀한 정치 공존 형태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사상의 바탕에는 유교적 명분론과 도덕 정치의 우수성에 대해 강조하였다. 그리고 임금의 ...
-
1풍산김씨 영감댁 갑오년 5월에 김종팔이 수급자미상에게 보낸 통문 김종팔(金鍾八)이 보낸 간찰이다. 자신이 본 서원의 특정 임무를 담당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겸손한 표현을 했다. 그리고 서원의 규약을 예시하면서,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